뉴스 칼럼 등 31

노무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결과 (2023년 6월 기준)

안녕하세요. 솔로몬의 지혜가 있는 쏠로몬스토리입니다. 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(2023년 6월 기준)을 하고자 합니다.  - ’23.6월 기준 근로자 1인당 시간당 임금총액은 22,878원으로 전년대비 1.0% 증가(정규직 24,799원(+1.6%), 비정규직 17,586원(+2.0%)) - 정규직 대비 비정규직의 시간당 임금 격차, 저임금근로자 비중은 전년보다 소폭 개선 - 사회안전망 확대로 정규직과 비정규직 간 사회보험 가입률 차이는 축소  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서 확인 가능합니다^^    #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#노무근로실태 #노무고용형태 #고용형태조사 #고용형태실태 #고용노동부결과발표 #고용노동부실태조사 #노무이슈 #고용노동부이슈 #고용노동부실태조사결과발표

뉴스 칼럼 등 2024.05.07

2023년 사업체 임금인상 특징 분석

안녕하세요. 솔로몬의 지혜가 있는 쏠로몬스토리입니다. 2024년 4월 한국경영자총협회(KEF)에서 발행한 2023년 사업체 임금인상 특징 분석에 관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.가. 2023년 상용근로자 연임금총액 4,781만원, 전년 대비 2.8%, 최근 3년 간 13.2% 인상 / 1페이지 나. 2023년 300인 미만 연임금총액 4,296만원(전년 대비 2.6%↑), 300인 이상 6,968만원(2.4%↑) / 3 페이지 다. 2023년 금융·보험업의 연임금총액 8,722만원, 숙박·음식점업(3,029만원)보다 약 5,700만원 높아 / 5 페이지 라. 2011년 이후 누적 시간당 임금 인상률 65.3%, 임금총액 인상률 50.1%보다 높고, 물가상승률(24.2%)의 2.7배에 달해 / 7 페이지202..

뉴스 칼럼 등 2024.05.02

2024년 4월 1일(월) 주요신문 헤드라인

★★04월 01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 ​ 《경 제》 ​ ☞높은 농산물값에 유가·환율도 ‘들썩’… 3%대 물가 계속된다...‘금사과’ 등 먹거리 물가 고공행진...긴급 재정투입 총력전도 역부족...유가도 심상찮아… 80달러 ‘훌쩍’...환율까지 오름세… 수입물가 자극...3월 소비자물가 ‘3%대 초반’ 전망...4월 이후에나 2%대 진입 예상 ​ ☞제조기업들, 반도체 중심 수출 실적 개선 기대…BSI, 11분기만에 최고치...대한상의,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BSI 조사...반도체·화장품 등 호조 전망...철강, 정유·석유화학은 '흐림'...내수소비 위축·유가 불안정 등 우려도 ​ ☞생필품에 '부가세 10→5% 인하' 추진…물가 안정 vs 포퓰리즘...2월 이어 3월도 '3%대' 물가 전망...세수 감소·물..

뉴스 칼럼 등 2024.04.01

2024년 3월 21일(목) 주요신문 헤드라인

★★03월 21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 ​ 《경 제》 ​ ☞청년·노인 보살필 때 ‘경제 허리’ 40대 ‘남성’은 “휘청”.. 취업자 “나 홀로 줄어, 갈 곳 없다”...인구 감소 영향, 노동 참여율 ‘둔화’...40대 취업자.. 10년 전比 9.3% 감소...남성>여성.. 노동시장 이탈율↑ 우려...“가족 부양·납세 등.. 별도 대책 필요” ​ ☞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 KDI “중장년 고용 안정 위해 연공서열형 임금구조 완화해야”...“기업들이 중장년층 쉽게 정규직 고용하게 대기업·공공부문이 연공성 완화 이끌어야” ​ ☞日 여행 멈칫할까…관광세에 치사율 30% 전염병까지...일본서 올 1~2월 STSS 확진 사례 379건, 급속도로 확산...숙박세·이중가격제 등 외국인 대상 각종 세금 징수 검토 중..

뉴스 칼럼 등 2024.03.21

2024년 3월 20일(수) 주요신문 헤드라인

★★03월 20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 ​ 《경 제》 ​ ☞꺼져 가는 성장동력…2028년부터 노동인구 감소 전환...경제활동인구, 2027년 정점 찍고 감소세로...2032년 노동인구 5명 중 1명, 65세 이상..."여성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유입 촉진해야" ​ ☞혼인, 모처럼 증가세로? 12년 만에 ‘반짝’.. “코로나 끝나”, “외국인과 결혼이 늘어서?”...초혼 연령.. 남 34살·여 31.5살 최고...2023년 혼인·이혼 통계 발표 결과...19만 4,000건.. 3년 연속 20만 건↓ ​ ☞밀가루값 6.6% 내린 CJ제일제당…정부 “설탕값도 내려라”...중력분 등 3종 3.2~10%↓…삼양사·대한제분 “곧 인하”...공정위 설탕 담합 조사에 업계 “제과·제빵 옥죄려는 포석” ​ ☞전력 넘치..

뉴스 칼럼 등 2024.03.20

2024년 3월 18일(월) 주요신문 헤드라인

★★03월 18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 ​ 《경 제》 ​ ☞사과값 떨어뜨려라…정부, 역대 최대 규모 지원 효과 있을까...'금사과'로 불리는 사과값을 떨어뜨리기 위해 대대적인 지원책...3∼4월 사과와 대파 등 13개 품목 납품단가와 할인 지원에 역대 최대 수준인 434억원 투입 ​ ☞“韓 임금, 20년 만에 日 추월…대·중기 임금 격차는 확대”...2002년 日 절반 수준이던 韓 임금, 2022년 日보다 높아져...2022년 대기업 임금 100일 때 중소기업 임금수준 57.7...경총 “고임금 대기업일수록 임금인상 최대한 자제해야” ​ ☞"너무 올라 안팔리네"..신차 가격 인하 러시..'카플레이션' 조정기 진입...신차, 가격 인하·동결 확산..."오를 만큼 올랐다" 구매 부담에 전략 수정 ​ ☞'13..

뉴스 칼럼 등 2024.03.18

2024년 3월 13일(수) 주요신문 헤드라인

★★03월 13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 ​ 《경 제》 ​ ☞'삼겹살 너마저'...외식 물가에 화장지·라면값도↑...소비자원 '참가격' 2월 외식 물가·7대 생필품 가격 공개...삼겹살 1인분 2만 원 육박…목욕비, 석 달째 올라 1만231원...7대 생필품 중 화장지·라면·계란·설탕↑, 우유·밀가루·식용유↓ ​ ☞사과값 71% 올랐다…과실 물가 상승률 40년 만에 최대...사과 물가 상승률, 역대 세 번째로 70% 넘어...귤 78.1%, 복숭아 63.2%, 감 55.9% 등 고공행진...정부, 과일 생산량 급감 예방 '생육관리 협의체' 구성 ​ ☞오일머니 홀린 K반도체...페블스퀘어 사우디JV, 1000억 투자유치..."중동서 인정받은 한국 AI반도체 기술…네옴시티 등 기회" ​ ☞슈퍼마켓부터 이커머스..

뉴스 칼럼 등 2024.03.13

2024년 3월 11일(월) 주요신문 헤드라인

★★03월 11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 ​ 《경 제》 ​ ☞송미령 “가용 수단·자원 총동원해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 총력”...농식품부, 서울 도봉구 하나로마트 현장점검...“물가 안정 위해 유통·식품기업 동참 중요” ​ ☞반도체 등 'K제조업' 기반 산업용 전기, 주택용보다 비싸졌다...지난해 기준 판매단가 3.9원 더 높아…4년만에 처음...주택용보다 원가 낮지만 차등 인상으로 요금 역전...OECD 국가 대부분은 산업용보다 주택용이 비싸 ​ ☞“한국에서 소금빵이 제일 맛있는 집이래요” 외국인 MZ, 이제 명동·인사동 말고 성수로 간다...연휴, 성수동 직접 가보니...외국인 10명이 베이커리 오픈런...각종 팝업스토어·음식점에 관광객 몰려...성수동 외국인매출 100% 넘게 증가 ​ ☞반복되는 ‘..

뉴스 칼럼 등 2024.03.11

2024년 3월 7일(수) 주요신문 헤드라인

★★03월 07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 ​ 《경 제》 ​ ☞과일값 폭등에 농식품부 '초비상'…특단의 대책 내놨다...과일 가격 32년 만에 최고...농식품부, '비상대책반' 가동...농식품부 비상수급안정대책반 가동...434억원 '물가 낮추기' 투입...납품단가·할인 지원 등 전방위 대책 추진 ​ ☞올해 '반도체·2차전지' 기회, '공급망'은 리스크… 챗GPT가 분석한 韓산업은?...대한상의, 챗GPT 활용해 韓 기업 경영메시지 분석...'기회'는 탄소중립, '리스크'는 공급망… AI는 기회이자 리스크 ​ ☞휘발유값, 5월부터 1800원대? 유류세 인하 ‘딜레마’...5월부터 유류세 인하 조치 종료...깎아줬던 유류세, 기름값에 반영...물가 떨어뜨릴 뾰족한 방법 없어 ​ ☞'中 춘절 영향' 1월 글로벌..

뉴스 칼럼 등 2024.03.07

2024년 3월 6일(수) 주요신문 헤드라인

★★03월 06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★ ​ 《경 제》 ​ ☞"여보, 여름까지 과일 못 먹겠다"...본적 없는 미친 물가, 상반기까지 오른다...과일물가,13년만에 최고치…여름철 과일 본격 출하전까지 오름세 지속..과실류 19개 가중치 1.46% 불과한데…물가엔 ‘이례적’ 영향력 ​ ☞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 3745달러…2.6% 반등했다는데...명목 GDP 2.4% 늘고 원화 가치 안정 영향...민간소비 1.8%↑…2020년 이후 ‘최저치’ ​ ☞산업부, GCC 대사단과 FTA 협력 확대 방안 논의…新중동붐 확산...GCC, 中·美 등에 이어 5번째 교역 상대국...유망품목·농축수산물 수출 증가 기대 ​ ☞골다공증 통증 주사 7월이면 동난다…동일 성분 대체 약 없어...원료 수급 차질…지난해 1월 이..

뉴스 칼럼 등 2024.03.06